티스토리 뷰

반응형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는 얀 판 에이크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유명하고 예술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꼽힙니다. 이 작품은 1434년 초기에 그려졌으며, 이탈리아의 조반니 디 니콜라오 아르놀피니와 그의 아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여러 제목으로 불리며, 《아르놀피니의 결혼》,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 등이 그 예시입니다. 그림의 배경에는 플랑드르 지역 브루제에 위치한 아르놀피니 부부의 저택으로 추정되는 실내가 그려져 있습니다.

1997년, 얀 판 에이크가 사망한 지 6년 후인 1447년에 조반니 디 아리고 아르놀피니와 그의 두 번째 아내로 추정되는 여성이 결혼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 작품의 주인공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이 작품이 플랑드르 지역의 침실을 배경으로 한 초상화로 여겨졌으나, 이후 여러 추정과 가설이 제시되며 그 의미와 인물의 정체성에 대한 해석이 계속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여성은 1433년 2월에 사망한 첫 번째 아내 코스탄자 트렌타라로도 가설이 제기되었습니다.

조반니 디 니콜라오 아르놀피니는 루카 출신의 이탈리아 상인으로, 최소 1419년부터 브루제에 거주했습니다. 그는 금융업에 종사하며 브뤼헤를 비롯한 여러 도시를 거점으로 성공 가도를 달렸습니다. 반 에이크가 조반니 아르놀피니의 초상을 그릴 때, 이 작품에 묘사된 남자의 얼굴과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에 묘사된 남자의 얼굴은 상당한 유사성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화가와 고객 간의 친분을 시사할 수도 있습니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에서 등장한 두 남녀가 서로 손을 잡고 있는데, 이것이 결혼하는 장면이라면 서로의 오른손을 잡아야 할 것이지만 남자는 여자의 오른손을 왼손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에는 '왼손 결혼'이라 불리는 형태의 결혼이 있었으며, 이 경우 상속권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이 작품은 현실적이고 섬세한 조명과 환각법의 사용으로 유명합니다. 그림 안의 실내 공간은 뛰어난 현실감으로 "방에 살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방 자체의 묘사까지 완벽한 실감이 느껴진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환각법은 당시에 매우 혁신적이었고, 예술사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작품은 원래 약간의 손상과 손실이 있었으나 대부분 수정을 거쳐 현재는 대체로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적외선 리프렉토그램으로 촬영하면 밑그림 단계에서 묘사된 인물의 얼굴, 거울, 기타 요소에서 자잘한 수정과 펜티멘토가 확인됩니다.

작품에서는 창문 밖으로 열매를 맺고 있는 체리 나무를 통해 부부가 여름철 2층 방에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 방은 보통의 가정에서 기대되는 것과는 달리 응접실로써 사용되며, 응접실에 침대를 두는 것이 당시 프랑스와 부르고뉴 지방에서 일반적이었습니다. 창문은 여섯 개의 내부 목재 덧문이 달려 있으며, 열려 있는 창문의 최상단 부분에만 유리가 끼워져 있습니다. 유리는 밝은 과녁 문양의 스테인드글라스로 칠해져 있습니다.

남자와 여자는 매우 값비싼 의상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남자의 모자는 짚으로 엮은 것을 검게 염색한 것으로 여름에 많이 착용되는 스타일입니다. 남자의 타바다는 당시 비단 벨벳으로 만들어져 매우 비싼 것으로 추정되며, 안쪽에는 무늬가 새겨진 중량 재질의 더블릿을 입고 있습니다. 여자의 드레스는 섬세한 대깅이 세밀하게 새겨져 있으며, 안쪽 드레스도 흰 모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반 에이크는 그림 속의 다양한 상징을 통해 부의 상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황동 샹들리에와 철제 막대로 고정된 침대 커튼, 세밀한 조각이 새겨진 의자와 벽에 걸린 철제 막대, 그리고 바닥에 깔린 작은 동양의 카펫은 부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거울에 비치는 벽난로나 실내에 놓인 물건들은 특별한 상징성이 없으며, 왼쪽에 놓인 오렌지는 부의 상징으로 생각됩니다. 당시에 오렌지는 매우 비싼 과일로 거래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림에는 부부를 마주 보고 문 안쪽에 서 있는 두 남자가 보입니다. 앞에서 파란 옷을 입은 남자는 화가 본인으로 추정되며, 부부의 앞에 서 있는 개는 초기 형태의 브뤼셀 그리펀으로 알려진 특별한 품종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은 얀 판 에이크의 예술적 업적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있으며, 그의 예술적 업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